보도자료
제2서해안고속도로 개통, 상습 지정체 구역 완화
본문
제2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상습 지·정체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서남부 지역과 충청권을 바로 잇는 평택~시흥간 제2서해안고속도로가 28일 오후 5시 개통된다.
이에따라 상습지정체 구간 해소로 시화공단, 반월공단, 인천 남동공단 등의 산업 물동량 수송이 원활해지고 시화호, 제부도, 대부도 등 서해안 해양 관광지로의 접근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2008년 3월 공사를 시작한 제2서해안고속도로는 총 사업비 1조 3천263억원을 투입, 경기 평택시 고잔리와 시흥시 월곶동을 잇는 총 길이 46.2㎞, 왕복 4~6차선 규모로 건설됐다.
3개의 IC와 2개의 JCT, 1개의 휴게소를 설치했고 전 노선에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을 구축했다. 또, 중앙분리대에 13개 비상회차로를, 안개예상지역 10개소에 발광형 안개시정표지를, 시화대교에 LED 난간조명을 각각 설치하는 등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을 갖췄다.
제2서해안고속도로는 특히 정부의 최소운영수입보장(MRG)이 없는 최초의 민자 고속도로로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공영 고속도로 통행료의 1.1배 수준으로 요금을 책정했다.
제2서해안 고속도로를 이용시 기존 서해안고속도로의 같은 구간을 이용할 때보다 주행거리가 3.8㎞, 주행시간이 15분, 평균시속 21km, 연료비 1리터 감소의 효과를 볼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써 연간 1천500억원의 물류비 절감, 이산화탄소 발생량 1만 7천400t 저감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2서해안고속도로 개통으로 그동안 만성적인 정체를 보이던 서해안고속도로의 교통을 분담하고, 산업단지가 밀집한 경기 서남부와 인천지역의 물류비 절감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치우 기자 han@plusnews.co.kr